에버그린 모바일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에버그린 모바일은 MVNO중 가장 오래 사용한 회사입니다.
제 기억으로는 2010년에 개통해서 사용했으며
지금 저희 아버지,어머니가 모두 이 회사를 사용하고 계십니다.
일단 에버그린 모바일은 KT의 망을 빌려 사용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의 장점은 KT와 거의 동일하다고 봐야될 정도로 비슷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면, SK의 MVNO인 '에코모바일'은 SK망을 빌려 쓰지만 SK폰을 쓴다고 하더라도 APN을 따로 설정해줘야 합니다.(스마트폰 기준)
하지만 에버그린 모바일은 KT폰이라면 다른 설정없이 유심만 넣고 사용이 가능합니다.(KT유심과 동일)
단순히 초기에 APN만 한번 등록해주면 되는 문제 아니냐? 뭐가 그리 귀찮냐? 라고 생각하실지도 모르지만(저도 처음엔 그렇게 생각했지만...;)
APN을 따로 잡아줘야하는 '에코모바일' 같은 경우에는 폰에 따라 설정값이 초기화 되거나 신호가 간헐적으로 끊긴다던가 하는 문제도 종종 발생합니다.(MVNO 에코모바일 편에서 자세히 적을 예정입니다)
또한 초기의 에버그린 모바일은, KT 고객센터 전산에 잡혔고 부가서비스의 가입과 해지또한 가능했었습니다(지금은 KT고객센터로 연락하면 에버그린모바일쪽의 연락처를 알려주거나 연결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전산에는 잡혀 조회가 되는것 같습니다.)
유심또한 본인명의의 KT유심이면 재활용이 가능했었습니다.(이 또한 지금은 불가능)
여러가지를 적었지만 제가 알고있는 MVNO 가운데 통신 3사를 쓰지않아 생기는 문제가 가장 없는,
MVNO이지만 MVNO라 느끼지 못하고 쓸고있는 회사라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MVNO의 회사들이 망내 무제한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망내 무제한 제도가 생긴 초기에, KT 망내 무제한 혜택이 있는 사용자가 에버그린 사용자에게 전화시 무제한 혜택이 없었음)
제도가 바뀌어 대부분의 MVNO 회사들이 망 빌리는 회사의 망내 무제한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물론 에버그린 모바일도 적용됩니다. KT 사용자가 망내무제한 요금제 사용중이라면 에버그린 모바일 사용자에게 망내 무제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https://www.egmobile.co.kr)는 좀 비루한 편입니다.
정말 기본적인것만 있는 느낌...
실제로 올해 3월경에 비밀번호 없이 아이디만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라는 글이 올라와
많은 사람이 홈페이지 탈퇴를 한 적이 있었죠.
(관련 글 ; https://www.egmobile.co.kr/bbs/view.php?table=notice&no=146&st=)
(참고로 저는 그때 저, 저희 아버지, 저희 어머니의 아이디를 다 탈퇴 시킨후 재가입 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홈피가 못미덥기 보단 복구되었다는 사실을 늦게 인지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그냥 귀찮아서...; 홈피 가입해야 볼 수 있는 컨텐츠가 많지 않기도 합니다. 만약 에버그린 모바일 사용자인데 홈피가입해서 정회원은 하고 싶은데 정 찝찝하다 싶은분은, 평소 사용하시는 아이디 말고 다른아이디로 가입하는걸 추천드립니다.)
고객센터의 상담원 수는 좀 적은 편입니다. MVNO라 인력이 별로 없는건 당연한 걸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필요해서 연락했을때는 큰 불편함은 없었습니다.
에버그린 모바일 고객센터에 연락한지 좀 되서 기억이 가물가물하긴 하지만
전화를 하면 상담원이 끝나는 대로 전화주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전화를 들고 대기해야 되지 않아 개인적으로는 나름 괜찮은 시스템이라 생각합니다.
SK와 LG, 그리고 KT에서(!!)도 에버그린모바일로 번호 이동이 가능하며
신규가입을 한다면 KT번호면 다 고를수 있습니다.(에코모바일은 국번(010다음번호인 가운데 4자리)가 정해져있습니다.)
안타깝게도 'KT 번호 조회'는 에버그린 모바일 홈페이지에서는 불가능합니다.
본인이 원하는 번호를 에버그린 모바일 상담사에게 전화로 물어보거나, KT고객센터에 전화에 물어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예. 사번 4588에 국번 뭐뭐 있어요?;) 전제가 깔려야 가능한 이야기이긴 하지만, KT를 쓰시는 분의 정회원분의 아이디를 빌려 번호변경에 들어가면 홈페이지에서 번호가 조회 가능합니다. 이게 제일 편한 방법이긴 합니다.
(생각해보니 할머니나 할아버지등 휴대폰이 없으신분이 신규가입하는 경우 아니면 다 번호이동으로 가입하실 테고, 신규가입으로 번호를 받아야 하는 입장이라도 사번만 맞으면 국번은 그냥 주는대로 쓰는 경우가 허다한데(국번이 마음에 안들어!! 바꾸고 싶어! 하는분은 잘 없으실듯...) 전 왜 이리 장황하게 번호변경에 대해 쓴것일까요...;)
다음은 요금제 관련 입니다.
크게 [기본료 0원 제로], [스마트 제로], [EG 3G 무제한 요금제], [EG LTE 무제한 요금제]가 있습니다.(나머지 2개정도도 있는데 잘 안쓰시리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기본료 0원 제로]와 [스마트 제로]는 스마트폰 과 일반폰(피쳐폰)이 공존할떄 나오고 분류되었던 요금제입니다. 사실상 [기본료 0원 제로]에는 데이터 제공이 빠져있고 [스마트 제로]에는 데이터가 포함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요금제로 보시면 됩니다.
EG무제한 요금제보다는 보다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게 장점입니다.
[기본료 0원 제로]에 통화와 문자 제공량에 따라 제로0,제로30,제로100,제로200로 나뉘지만
통화를 많이 쓰시는 분은 다른 요금제를 쓰실것이라 생각됩니다.(통화 많이 쓰는데 이 요금제는... 그닥 좋은방법 같지 않아보입니다.)
통화량이 미미하거나 주로 받기만 하는 분들, 또한 통화가 많은 연인이지만 메인 회선의 통신사가 달라 망내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의 서브 회선으로 추천합니다.(망내 무제한이 에버그린 회선으로 전화! 가입비 제외하고는 발신 안한다면 기본료 0원!!)
[기본료 0원 제로]의 '제로0' 요금제는 월 요금이 '0원'이며 딱 이요금제로 가입할때만 가입비(14,400원)가 청구됩니다.(스마트 제로 등은 다 가입비 면제로 앎)(초기에 제로0원도 가입비 면제였지만 많은 분들이 공짜로 가입해서 유지하다가 번호이동이로 나가버리는 사태가 일어나서 기본료 0원짜리에만 가입비가 붙은걸로 알고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쓰시면서 카톡정도만 사용하는 라이트 유저는 [스마트 제로]가 좋습니다.
데이터는 3G 속도로 제공됩니다.
통화,문자 제공량은 없고(사용하는 대로 청구되고) 데이터만 100MB는 5000원(부가세 별도) 500MB는 10000원 1GB는 15000원으로 가격적으로 상당히 좋습니다.
3사 기본료(11000원)를 생각하면, 통화 문자 안쓰고 데이터 500MB(10000원)를 쓰는게 더 싸니까요!!
실제 저희 아버지 어머니가 쓰시는 요금제가 이 요금제 입니다.(아버지 100MB(5000원), 어머니 500MB(10000원))
평소 아버지가 까탈스러운 편이시긴 한데 별 말씀 없으실정도로 무난합니다.
요금제 마지막인 [EG 3G 무제한 요금제]와 [EG LTE 무제한 요금제]가 있습니다.
이건 KT의 모두다 올레와 제공량이 완전히 같습니다. 3G버전과 LTE버전 2가지가 있는것이지요.
제공량이 동일하다 보니 차이는 요금입니다.
(이미지 출처 ; http://goo.gl/gZ5YZJ)
(이미지 출처 ; http://goo.gl/rnJYoO)
가입은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유심만 오는거라 평일에 늦게 신청하는 경우가 아니면 보통 당일에 발송합니다(자세한건 에버그린 모바일 고객센터로 문의하세요. (고객센터: 1588-6220(유료) 가입상담: 1599-6110(유료))
아 위에도 언급했듯이 유심재활용이 불가능으로 바뀌었습니다.
유심비용은 통신전용 USIM은 5,500원, 금융 USIM은 8,800원 입니다.
아 사용하고 계신 휴대폰이 일반유심인지 마이크로유심인지 크기 확인하시고 주문하세요!
(참조 ; 유심 크기에 따른 종류(http://goo.gl/udphy8))
가격적으로 판단하면 MVNO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매력적이지만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일단 위의 언급한 모든 요금제는 유심만 개통해서 사용하는 상품입니다.
기기를 따로 구매하거나 마련하야 합니다. 지금 사용할 수 있는 폰이 있는상태면 별 문제 없어 보일 수 있으나 1-2년 정도 지나서 폰이 고장나거나, 내가 가지고 있는 폰이 사용하기에는 구형폰이 되어 버린 경우는 난감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중고구매를 해줘야 합니다.
또한 장기가입의 혜택이 없습니다.
장기가입혜택을 받고 있지 않는 사용자는 별 상관 없는 이야기지만
SK 온가족 할인 등 사용 년수가 인정되는 할인혜택을 받고 있는 분은
그 회선을 버리고 넘어간다는게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만간인 10월에 단통법(단말기통신법)이 시행된다고 하고
기형적인 우리나라 휴대폰 시장 특성상 2년간 내는 폰 요금이 부담스러운것이 사실입니다.
고가의 요금제, 비싼 할부 원금...
휴대폰의 성능이 높지 않아도 상관없는 사용자이고 장기혜택과도 거리가 먼분이라면
충분히 매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MVNO 중 제일 오래쓰고 여러가지를 겪어보고 해서
글이 길고 많이 장황해졌네요. 스크롤 압박에 누가 읽을까 싶을정도...;
아무튼 물어볼 내용은 댓글 남겨주시면 확인하는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매우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PH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폰(MVNO)이란? (0) | 2014.08.29 |
---|---|
원배정번호 (0) | 2014.08.29 |
유심 크기에 따른 종류 (0) | 2014.08.29 |